파이퍼 베큠, 올해 뢴트겐상 수상자 빅토리아 그린베르크 박사(Dr. Victoria Grinberg)를 맞이하다

2022-11-28

  • X선 천문학에서의 획기적인 연구
  • 대질량성 항성풍 분야
  • 수년 동안 신진 과학자들을 후원해온 파이퍼 베큠과 슝크 그룹

올해 유스투스 리비히(Justus-Liebig) 기센 대학(JLU)의 유명한 뢴트겐상은 X선 천문학에서의 획기적인 연구를 진행한 천체 물리학자이자 과학 해설사에게 돌아갑니다. 상금이 15,000유로인 이 상은 2022년 11월 25일 금요일 JLU 학술 행사의 일환으로 에버하르트 카를스(Eberhard Karls) 튀빙겐 대학의 신진 과학자 그룹 리더이자 ESA의 과학 해설사에게 수여되었습니다. 파이퍼 베큠과 루트비히 슝크(Ludwig Schunk) 재단이 공동으로 상금을 수여합니다. 1879년부터 1888년까지 기센에서 교수로 근무한 노벨상 수상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Wilhelm Conrad Röntgen)을 기리기 위해 JLU는 1960년부터 이 상을 수여해오고 있습니다.

JLU의 전문가 위원회는 빅토리아 그린베르크 박사(Dr. Victoria Grinberg)가 “막대한 발전 잠재력을 지닌 X선 천문학 분야의 뛰어난 신진 과학자"라고 말했습니다. JLU 물리학 I 연구소(Institute of Experimental Physics I)의 마르쿠스 토마 교수(Prof. Dr. Markus Thoma)는 위원회에 다음과 같이 첨언했습니다. “그녀는 이미 대질량성 항성풍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눈에 띄는 주도적 역할을 해냈습니다.“

그린베르크 박사는 루트비히 막시밀리안(Ludwig Maximilians) 뮌헨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2013년 에어랑엔-뉘른베르크(Erlangen-Nuremberg) 대학의 칼 레마이스 박사(Dr. Karl Remeis) 천문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녀는 박사 학위 논문에서 블랙홀을 다루었고 그 이후 항성풍 연구에 집중해 왔습니다. 여기서 소위 X선 쌍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서 물질은 항성풍에 의해 대질량성에서 고밀도 별(예: 블랙홀)로 전달되며, 그 응축 원반(물질을 중심 방향으로 운반하는 회전 원반) 안에 엑스레이 방사선이 생성됩니다.

그린베르크 박사는 X선 위성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러한 X선 소스의 가변성을 연구했으며 그 과정에서 대질량성과 X선 쌍성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항성풍에 대해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녀는 수치 모델을 이용해 가변성 특성으로 항성풍의 구조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그린베르크 박사는 X선 분광학을 이용해 항성풍의 이온화 구조를 연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파이퍼 베큠, 올해 뢴트겐상 수상자 빅토리아 그린베르크 박사를 맞이하다
파이퍼 베큠, 올해 뢴트겐상 수상자 빅토리아 그린베르크 박사(Dr. Victoria Grinberg)를 맞이하다

X선 천문학에서의 이러한 획기적인 연구는 그린베르크 박사와 그녀가 이끈 연구 실무진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미 63개의 동료 검토 간행물에 게재되었습니다. 그 연구로 그녀는 마르가레테 폰 브랑겔(Margarete von Wrangell) 대학 교수 자격 수여 장학금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뛰어난 과학적 성과뿐만 아니라 교육 및 과학 해설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냈습니다. 또한 수많은 공개 강연을 했으며 트위터에서 #Astrophysikerinnen(여성 천체 물리학자) 해시태그로 독일어권 국가의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과학자를 드러내는 데 기여했습니다.

“최첨단 연구에서의 젊은 과학자들의 노력은 Pfeiffer Vacuum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X선 위성은 우주 시뮬레이션 챔버안에서 개발 및 테스트 됩니다.이것은 우주 환경 조건을 시뮬레이션 시킨 커다란 진공 수용기 안에서 진행됩니다. Pfeiffer Vacuum 관리 이사인 다니엘 쉘쳐 (Daniel Sälzer) 는 시상식을 통해, “우리는 빅토리아 그린버그(Dr. Victoria Grinberg) 박사를 축하하고, 진공 기술이 연구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